역사를 새로 쓴 코스피! 3400 돌파 이후 3600까지 갈 수 있을까?




2025년 9월, 한국 증시가 45년 역사상 가장 뜨거운 순간을 맞고 있습니다.

코스피가 사상 최초로 3,400선을 돌파하며 연일 신고가 행진을 이어가고 있어요.

10거래일 연속 상승이라는 놀라운 기록과 함께 다음 목표는 3,500, 그리고 3,600선입니다.

지금 이 순간을 놓치면 언제 다시 이런 기회가 올지 모르는 역사적인 타이밍이에요.

현재 코스피 상황과 최신 기록들

2025년 9월 15일 기준 코스피는 3,407.31포인트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이는 1980년 100포인트로 시작한 이후 45년 역사상 최고 기록이며, 장중 최고가는 3,452.50포인트까지 치솟았어요.

특히 주목할 점은 연속 상승 기록입니다.

10거래일 연속 상승은 2023년 1월 이후 2년 8개월 만의 기록으로, 투자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날짜 코스피 종가 상승률 기록
9월 10일 3,314.53 1.67% 7거래일 연속 상승
9월 11일 3,344.20 0.89% 8거래일 연속 상승
9월 12일 3,395.54 1.54% 9거래일 연속 상승
9월 15일 3,407.31 0.35% 3400선 첫 돌파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 만에 코스피 상승률이 23.9%를 기록하여 역대 대통령 중 가장 빠른 상승률을 달성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해요.

외국인과 기관이 연일 조 단위 순매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9월 한 달간 외국인만 4조 6,568억원을 순매수했어요.

3400 돌파 이후 목표가 전망

증권가에서는 코스피의 다음 목표를 3,500~3,600선으로 보고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더욱 대담한 전망을 내놓기도 해요.

증권사별 상단 목표가

증권사/전문가 목표가 시점 근거
하나증권 이재만 3,770 연말까지 보수적으로도 3,530
대신증권 3,500 연내 밸류에이션 부담 고려
NH투자증권 3,600 2026년 상반기 정책 기대감 반영
키움증권 3,550 10월 경기회복 기대
삼성증권 3,500 연내 기업 실적 개선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3400선 돌파로 상방이 열린 점에 주목하며 3500대까지 상승 여력이 확대됐다"고 분석했습니다.

다만 "3500선 이상은 밸류에이션 부담이 크다"며 "이후 중단기 조정은 불가피하다"고 신중론을 제시했어요.

3400 돌파 이후 상승 동력 분석

현재 코스피 상승을 이끄는 주요 동력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정책 기대감 해소

구윤철 경제부총리가 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을 현행 50억원으로 유지한다고 발표하면서 최대 악재가 해소됐습니다.

이재명 대통령도 기자회견에서 "굳이 50억원 기준을 10억원으로 반드시 내려야겠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시장 우려를 달랬어요.

외국인 수급 대반전

9월 들어 외국인이 하루 최대 1조 4,201억원을 순매수하는 등 '바이 코리아'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 삼성전자: 하루 7,891억원 순매수
  • SK하이닉스: 하루 3,321억원 순매수
  • 9월 한달 외국인 순매수액: 4조 6,568억원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

9월 FOMC에서 기준금리 25bp 인하가 유력하며, 이는 신흥국 증시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달러 약세 기조가 지속되면서 원화 강세도 외국인 투자에 도움이 되고 있어요.

하지만 너무 빠른 상승에 대한 우려도 있습니다. 단기 조정 가능성을 열어두고 투자해야 해요.

반도체 업종이 이끄는 상승 랠리

이번 코스피 상승의 핵심은 반도체 업종의 강세입니다.

특히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연일 외국인 매수 1, 2위를 차지하고 있어요.

SK하이닉스 급등 배경

SK하이닉스는 세계 최초로 HBM4 개발을 완료했다는 개별 호재가 나오면서 7% 급등했습니다.

HBM(High Bandwidth Memory) 시장에서의 독점적 지위가 더욱 공고해진 것으로 평가받고 있어요.

삼성전자 반등 신호

그동안 부진했던 삼성전자도 메모리 반도체 공급 부족 전망에 힘입어 연일 상승하고 있습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내년에 경쟁사들이 HBM4 생산에 초점을 맞추면서 서버의 메모리반도체 교체 주기가 도래하며 발생한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분석했어요.

AI 반도체 수혜주 부각

미국에서 오라클 등이 AI 수요를 확인하면서 엔비디아, 브로드컴 등이 상승하자 국내 반도체 섹터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다음 관전 포인트와 변수들

코스피가 3,500선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주목해야 할 변수들이 있습니다.

9월 FOMC 결과

9월 16~17일 FOMC에서 25bp 금리 인하가 예상되지만, 연준의 향후 통화정책 경로에 따라 시장 반응이 달라질 수 있어요.

Fed 점도표가 시장 기대에 부응하지 못할 경우 조정 압력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9월 정기국회

자사주 소각 의무화 상법 개정안과 배당소득 분리과세 법안 통과 여부가 추가 상승 동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특히 증권·지주회사 등 가치주와 배당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에요.

3분기 기업 실적

10월 중 발표될 3분기 기업 실적이 현재 주가 수준을 뒷받침할 수 있을지가 중요한 변수입니다.

특히 반도체 업종의 실적 개선 여부가 주목받고 있어요.

투자 전략과 리스크 관리

3,400선을 돌파한 현 시점에서의 투자 전략을 제시해드리겠습니다.

현재 상황별 대응 전략

기존 보유자

  • 일부 차익 실현 고려 (전체 물량의 20-30%)
  • 상승폭이 큰 종목부터 정리
  • 핵심 보유주는 계속 보유

신규 진입자

  • 3,200선 하회 시 분할 매수
  • 단숨에 올인하지 말고 시차 매수
  • 변동성에 대비한 여유 자금 확보

업종별 투자 전략

업종 전략 이유
반도체 핵심 보유 AI 수요 지속, HBM 독점
증권 신규 편입 자본시장 개혁 수혜
조선/방산 일부 차익실현 단기 급등 후 조정 우려
바이오 저점 매수 대기 상대적 소외, 반등 기대
지금은 욕심보다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상승장에서도 리스크 관리를 소홀히 하면 안돼요.

중장기 전망과 시나리오

코스피의 중장기 전망을 세 가지 시나리오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낙관 시나리오 (확률 30%)

목표가: 3,700~3,800

  • 미국 금리 인하 가속화
  • 반도체 슈퍼 사이클 지속
  • 국내 정책 모멘텀 강화
  • 중국 경기 회복

기본 시나리오 (확률 50%)

목표가: 3,500~3,600

  • 점진적 금리 인하
  • 기업 실적 완만한 개선
  • 정책 효과 제한적
  • 글로벌 경기 둔화 지속

우려 시나리오 (확률 20%)

조정 목표: 3,000~3,200

  • 미국 금리 인하 지연
  • 반도체 업황 악화
  •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 국내 정치적 불안정

해외 투자자 관점에서 본 한국 증시

최근 외국인 매수세가 급증하는 이유를 분석해보겠습니다.

한국 증시의 매력 포인트

  1. 상대적 저평가: 미국 등 선진국 대비 밸류에이션 매력
  2. 반도체 경쟁력: AI 시대 핵심 소재 공급업체
  3. 배당 매력 증대: 정책적 배당 확대 기조
  4. 원화 강세: 환율 리스크 축소

김태홍 그로쓰힐자산운용 대표는 "그간 미국 등 다른 나라에 비해 국내 주가지수가 다소 느리게 최고점을 돌파했기 때문에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조와 반도체 업황 회복세까지 맞물려 당분간은 국내 증시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어요.

주의해야 할 리스크 요인들

상승장이라고 해서 리스크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단기 리스크

  • 과열 우려: 10일 연속 상승 후 차익실현 압력
  • FOMC 결과: 기대와 다른 결과 시 조정
  • 기술적 조정: 급등 후 자연스러운 조정

중장기 리스크

  • 밸류에이션 부담: 3,500선 이상에서 부담 증가
  • 실적 뒷받침: 주가 상승에 걸맞은 실적 개선 필요
  • 글로벌 변수: 미중 갈등, 유럽 경제 등
상승장에서도 항상 리스크를 염두에 두고 투자하세요. 분할 매수와 분할 매도로 변동성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해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 지금 코스피가 3,400을 넘었는데 더 오를 수 있나요?

A. 증권가 전망에 따르면 3,500~3,600까지 추가 상승 여력이 있습니다. 다만 단기 조정 가능성도 있으니 신중하게 접근하세요.

Q. 이미 많이 올랐는데 지금 사도 될까요?

A. 한번에 몰아서 사지 말고 3,200선 하회 시 분할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급등 후에는 변동성이 클 수 있어요.

Q. 반도체주만 계속 오르는 것 같은데 다른 업종은 어떤가요?

A. 현재는 반도체가 주도하고 있지만, 증권·조선·바이오 등 다른 업종도 순환 매물이 들어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Q. 외국인이 계속 사고 있는데 언제까지 지속될까요?

A. 미국 금리 인하와 원화 강세가 지속되는 한 외국인 매수세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과도한 상승 시에는 차익실현이 나올 수 있어요.

Q. 3분기 실적이 부진하면 주가가 떨어질까요?

A. 3분기 실적도 중요하지만 현재는 미래 기대감이 더 중요한 상황입니다. 4분기와 내년 전망이 좋다면 일시적 조정은 매수 기회가 될 수 있어요.

Q. 언제까지 보유하고 있어야 할까요?

A. 3,500선에서 일부 차익실현을 고려하고, 3,200선 하회 시에는 추가 매수를 검토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무작정 보유하기보다는 유연한 대응이 필요해요.

다음 이전